탈랄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랄 1세는 무함마드의 직계 후손임을 자처하는 하심가 출신으로, 1951년 7월 20일, 암살당한 아버지 압둘라 1세의 뒤를 이어 요르단의 국왕이 되었다. 그는 영국 혐오 성향을 보였으며, 1952년 7월 23일 정신 질환으로 인해 아들 후세인 1세에게 대리청정을 맡기고 퇴위했다. 그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요르단의 자유화된 헌법 제정에 기여했으며,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등 아랍 국가들과의 관계 완화에도 힘썼다. 탈랄 1세는 1972년 사망하여 암만의 왕족 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단 국왕 - 후세인 1세
후세인 1세는 1952년부터 1999년 사망까지 요르단의 국왕으로 재임하며 격변하는 시대 속에서 요르단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노력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에 대한 비판과 국제 사회에서의 엇갈리는 평가를 받았다. - 요르단 국왕 - 압둘라 2세
압둘라 2세는 1962년생 요르단 국왕으로, 군 복무 후 후세인 1세 서거로 즉위하여 경제 및 정치 개혁, 이스라엘과의 평화 유지, 시리아 난민 문제 등 국내외 문제에 직면하며 종교적 관용 외교를 펼쳐왔다. - 하심 가 - 후세인 1세
후세인 1세는 1952년부터 1999년 사망까지 요르단의 국왕으로 재임하며 격변하는 시대 속에서 요르단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노력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에 대한 비판과 국제 사회에서의 엇갈리는 평가를 받았다. - 하심 가 - 압둘라 2세
압둘라 2세는 1962년생 요르단 국왕으로, 군 복무 후 후세인 1세 서거로 즉위하여 경제 및 정치 개혁, 이스라엘과의 평화 유지, 시리아 난민 문제 등 국내외 문제에 직면하며 종교적 관용 외교를 펼쳐왔다. - 1972년 사망 - 김두한
김두한은 일제강점기 주먹으로 활동하다 해방 후 정치인으로 변신한 인물로, 김좌진 장군 아들이라는 설이 있지만 논란이 있으며, 반일 활동, 정치 활동, 폭력 사건 등 다양한 행적을 보였고, 그의 삶은 여러 매체에서 재해석되었으나 평가는 엇갈린다. - 1972년 사망 - J. 에드거 후버
J. 에드거 후버는 1924년부터 1972년까지 미 연방수사국(FBI) 국장으로 재직하며 FBI를 현대적인 수사 기관으로 발전시켰지만, 권력 남용과 정치적 탄압으로 비판받았으며, 사후 FBI 국장 임기가 제한되었다.
탈랄 1세 | |
---|---|
기본 정보 | |
![]() | |
군주 칭호 | 요르단 국왕 |
재위 기간 | 1951년 7월 20일 – 1952년 8월 11일 |
즉위 | 1951년 7월 20일 |
선임자 | 압둘라 1세 |
후임자 | 후세인 1세 |
섭정 유형 | 총리 |
섭정 | 사미르 알-리파이 타우피크 아부 알-후다 |
출생일 | 1909년 2월 26일 |
출생지 | 메카, 헤자즈 빌라예트, 오스만 제국 |
사망일 | 1972년 7월 7일 |
사망지 | 이스탄불, 튀르키예 |
매장지 | 라가단 궁전 |
전체 이름 | 탈랄 빈 압둘라 빈 후세인 빈 알리 |
배우자 | 제인 알-샤라프 빈트 자밀(1934년 결혼) |
자녀 | 후세인 1세 무함마드 빈 탈랄 왕자 하산 빈 탈랄 왕자 바스마 빈트 탈랄 공주 |
왕가 | 하심 가문 |
아버지 | 압둘라 1세 |
어머니 | 무스바 빈트 나세르 |
종교 | 수니 이슬람 |
이름 (아랍어) | |
아랍어 표기 | طلال بن عبد الله |
로마자 표기 | Ṭalāl bin ʻAbd Allāh |
이름 (한국어) | |
로마자 표기 | 탈랄 빈 압둘라 |
2. 생애
무함마드의 직계 후손임을 자처하는 하심가 출신으로, 후세인 1세의 아버지이다. 1951년 7월 20일 아버지 압둘라 1세가 예루살렘에서 암살당하면서 요르단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1939년 영국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으며, 즉위 전에는 아랍 군단에서 복무했다.
탈랄은 극단적인 영국 혐오 성향을 보였고, 할아버지 후세인 빈 알리의 측근이었던 영국인 아랍 군단 사령관 글래브 파샤와 충돌하는 등 문제를 일으켰다. 이 때문에 동생인 나이프 빈 압둘라가 섭정을 맡기도 했다.
결국 탈랄은 정신 질환(조현병 의심)으로 인해 1952년 8월 11일 의회에 의해 퇴위당했다. 장남 후세인 1세가 같은 날 즉위했으나, 법정 연령 미달로 1953년 5월 2일에 정식으로 국왕이 되었다. 탈랄은 4남 2녀를 두었지만, 성인이 된 것은 후세인 1세, 하산 전 왕세자, 무하마드 왕자 3남과 딸 1명이었다.
요르단에서 발행되는 10 디나르 지폐에 그의 초상이 사용되었다.
2. 1. 초기 생애 (1909년 ~ 1951년)
탈랄은 1909년 메카에서 압둘라 1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오스만 제국 의회 아랍 대표였던 압둘라 1세이고, 어머니는 무스바 빈트 나세르였다.[2] 어린 시절 탈랄은 암만에서 개인 교육을 받았다. 1927년 트란스요르단의 아랍 군단에 소위로 입대했고, 이후 쫓겨난 헤자즈 왕국의 왕이자 그의 할아버지인 샤리프 후세인이 키프로스에서 망명 생활을 할 때 그의 보좌관이 되었다. 1948년까지 탈랄은 육군 장군이 되었다.[3]1929년, 영국 육군의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아랍 군단 기병 연대에 소위로 임관했다. 그의 연대는 예루살렘의 영국 연대와 바그다드의 왕립 포병대에 배속되었다. 1934년 11월, 제인 알샤라프 빈트 자밀과 결혼하여 1935년에 첫 아들 후세인 1세를 낳았다.[19] 슬하에 4남 2녀를 두었지만, 성인이 된 것은 후세인 1세, 하산 전 왕세자, 무하마드 왕자 3남과 딸 1명이었다.
2. 2. 즉위 (1951년)
1951년 7월 20일 아버지 압둘라 1세가 예루살렘에서 암살당하면서 탈랄이 요르단의 국왕으로 즉위했다.[4] 압둘라 1세의 암살은 이스라엘과의 평화 조약 체결 소문으로 인한 팔레스타인인의 소행으로 알려져 있다.[4] 당시 탈랄의 아들 후세인도 아버지와 함께 금요 예배에 참석했으나, 15세의 후세인은 암살 위협에서 살아남았다.[4]2. 3. 통치 기간 (1951년 ~ 1952년)
탈랄은 1951년 7월 20일 아버지 압둘라 1세가 예루살렘에서 암살된 후 요르단 국왕으로 즉위했다.[4] 이스라엘과의 평화 조약 체결 소문으로 인해 암살된 압둘라 1세와 함께 알아크사 사원에서 금요 예배에 참석했던 탈랄의 아들 후세인 1세는 암살 위협을 받았으나 살아남았다.[4]탈랄은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요르단 의회에 정부와 장관들의 책임을 명시한 자유화된 헌법을 제정했다. 1952년 1월 1일에 비준된 이 헌법은 정부가 집단적으로, 장관들이 개별적으로 의회에 책임을 지도록 규정했다. 또한 탈랄은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등 인접 아랍 국가들과의 관계를 개선했다.
탈랄은 정신 질환으로 인해 1952년 8월 11일에 퇴위했고, 왕위는 아들 후세인 1세가 이었다.
2. 3. 1. 영국과의 관계
탈랄은 맥마흔-후세인 서한에 따른 독립 아랍 왕국 수립 약속을 영국이 완전히 이행하지 않은 것에 대해 반감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스라엘 역사학자 아비 슐라임은 탈랄이 "자신의 나라 일에 대한 영국의 간섭에 격렬하게 분개했다"고 주장한다.[9] 그러나 당시 영국 관리들은 탈랄의 반(反)영국 감정을 크게 의미를 두지 않거나, 축소하려 했다는 주장도 있다.[8][9] 1939년 트란스요르단의 영국 거주자 알렉 커크브라이드 경은 서신에서 탈랄을 "마음속으로는 깊이 반 영국적"인 인물로 묘사했다.[6][7]2. 4. 퇴위 (1952년)
탈랄은 즉위 1년 만에 정신 질환(조현병 의심)으로 인해 1952년 8월 11일 강제 퇴위당했다.[13] 타우피크 아부 알후다 총리가 퇴위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의회에 탈랄의 폐위를 요청했고, 의회는 만장일치로 이를 승인했다.[13]1952년 5월 29일, 자신 여왕이 파리에 있는 영국 대사관으로 피신하면서 탈랄의 건강이 좋지 않다는 보도가 더욱 두드러졌다. 자신 여왕은 탈랄이 "칼로 자신을 위협하고 어린 자녀 중 한 명을 살해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나이젤 J. 애쉬턴(영국의 역사학자)은 자신 여왕에 대해 "영국과 독자적인 사적 소통 채널을 가진 정교한 정치적 책략가"라고 묘사했다.[12][11]
아부 알-후다는 탈랄이 "사적인 개인"과 "아랍 군단의 장교"의 도움을 받아 정부에 도전하려 한다는 보고를 받고, 양원 의회를 "임시 회의"로 소집하여 탈랄이 "정신 분열증"과 같은 "의학적 이유"로 폐위되어야 한다는 동의안을 승인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아부 알-후다는 의학 보고서를 바탕으로 자신의 요청을 뒷받침했으며, 탈랄의 의학적 상태는 회복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13] 육군 민족주의 장교들은 탈랄의 퇴위를 논의하기 위한 의회 회의가 그에 대한 음모라고 의심했지만, 국왕의 부관인 '압드 알'아지즈 아스푸르는 장교들에게 돌아와 그의 정신 상태에 대한 주장을 확인했다.[14]
아부 알-후다는 1952년 8월 11일 탈랄이 폐위된 날부터 1953년 5월 2일 탈랄의 아들 후세인 1세가 성년이 될 때까지 요르단을 "독재적" 방식으로 통치했다.[15]
퇴위 후, 탈랄은 터키 이스탄불의 요양원에서 여생을 보냈으며, 1972년 7월 7일 사망했다.[17]
3. 유산
탈랄은 짧은 통치 기간에도 불구하고 현대적인 요르단 헌법을 제정하여 요르단의 정치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8] 그의 헌법 제정은 요르단 의회와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가족 관계
배우자 | 제인 알샤라프 빈트 자밀 (1934년 결혼) |
---|---|
자녀 |
참조
[1]
뉴스
Ex-King Talal of Jordan Dies; Abdicated in '52 in Favor of S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2-07-09
[2]
서적
Guardians of Shi'ism: Sacred Authority and Transnational Family Networks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5
[3]
웹사이트
Schizophrenia - TIME
http://www.time.com/[...]
2007-09-05
[4]
뉴스
The Art of Middle East Survival
https://www.wsj.com/[...]
2008-09-06
[5]
인터뷰
Interview with Prince Raad ibn Zayd
2002-09-06
[6]
서적
Lion of Jordan
[7]
서적
King Hussein of Jordan: A Political Life
[8]
서적
Glubb Pasha and the Arab Legion: Britain, Jordan and the End of Empire in the Middle East
[9]
서적
Lion of Jordan
[10]
서적
Glubb Pasha and the Arab Legion: Britain, Jordan and the End of Empire in the Middle East
[11]
서적
Glubb Pasha and the Arab Legion: Britain, Jordan and the End of Empire in the Middle East
[12]
서적
Glubb Pasha and the Arab Legion: Britain, Jordan and the End of Empire in the Middle East
[13]
서적
Glubb Pasha and the Arab Legion: Britain, Jordan and the End of Empire in the Middle East
[14]
서적
Colonial Effects: The Making of National Identity in Jorda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09-11
[15]
서적
Glubb Pasha and the Arab Legion: Britain, Jordan and the End of Empire in the Middle East
[16]
서적
Glubb Pasha and the Arab Legion: Britain, Jordan and the End of Empire in the Middle East
[17]
웹사이트
45th Anniversary of King Talal Abdullah's death
https://web.archive.[...]
2017-07-06
[18]
웹사이트
Jordan remembers King Talal
http://www.jordantim[...]
2014-07-06
[19]
웹사이트
The Hashemite Royal Family
https://web.archive.[...]
The Office of King Hussein
[20]
서적
The Modern History of Jordan
https://books.google[...]
I.B.Tauris
1998-12-15
[21]
웹사이트
Family tree
http://www.alhussein[...]
201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